본문 바로가기

신용등급 무료조회(+점수 올리기)

개인의 신용도를 판가름하는 척도가 신용등급입니다. 신용등급을 잘 관리해야 일시적으로 수입보다 지출이 많아질 때 낮은 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신용등급 무료조회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과거에는 1등급부터 10등급까지 신용등급으로 신용도를 나눴지만 2021년도부터는 신용점수로 법이 바꼈습니다. 1점차로 등급이 떨어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함이죠.

 

아직은 신용등급과 신용점수를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신용등급 & 신용점수 표

신용등급 나이스 KCB(올크레딧)
1등급 900~1000 942~1000
2등급 870~899 891~941
3등급 840~869 932~890
4등급 805~839 768~831
5등급 750~804 698~767
6등급 665~749 630~697
7등급 600~664 530~629
8등급 515~599 454~529
9등급 445~514 335~453

나이스 기준 445점 미만, KCB 335점 미만은 10등급입니다. 신용평가사마다 신용을 가르는 척도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신용등급 무료조회 방법

신용등급을 조회하는 방법으로는 위에 2개의 신용평가사에서 조회하는 방법과 2개의 회사와 제휴를 맺은 카카오나 네이버 그리고 토스 등에서 간단하게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올크레딧

KCB 올크레딧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오른쪽 하단에 보면 '전국민 무료 신용조회'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여기서 자신의 신용등급을 체크해볼 수 있습니다.

1년에 총 3번 신용등급 무료조회가 가능하며 4개월 주기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별도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올크레딧 신용조회 바로가기

 

나이스

올크레딧과 함께 대표적인 개인 신용평가사입니다. 홈페이지 왼쪽 하단에서 '신용점수 조회' 메뉴에서 간단한 본인인증 확인 절차를 걸친 후에 신용도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나이스 또한 무료로 신용등급 무료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업&개인 신용도 평가를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신뢰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나이스 신용조회 바로가기

 

카카오페이

카카오페이에서 신용등급 무료조회 하기

전 국민이 사용하는 카카오페이에서도 신용등급을 무료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메뉴→카카오페이→서비스→신용조회]로 들어가면 간편하게 내 신용점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토스

토스에서도 1분이면 신용점수 조회가 가능한데요, 토스 앱을 다운받고 오른쪽 하단 메뉴에서 신용이라는 서비스를 찾으면 됩니다. 토스나 카카오 등에서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등에 대해서도 정보를 제공하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네이버

카카오와 더불어 많은 국민들이 사용하는 네이버에서도 조회가 가능합니다. 네이버 앱을 설치해야 하며 [네이버페이→신용관리로 들어가면 내 신용등급을 무료 조회가 가능하죠.

 

네이버와 카카오 신용점수가 다른 이유는?

아마 조회를 하면서 의아해 할 수도 있습니다. 신용점수가 다르게 나오기 때문인데요, 네이버보다 카카오나 토스가 더 높게 나오기 때문입니다.

 

이는 네이버와 카카오가 제휴한 신용평가사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네이버는 나이스라는 신용평가사와 제휴를 맺었고 카카오와 토스는 KCB와 제휴를 맺어서 서로 다르게 나오지만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