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

11월 위드 코로나에 발맞춘 소비쿠폰 재개, 할인행사 개최 소식입니다. 또한 코세페(코리아 세일 페스타) 일정에 발 맞춰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 판매를 일시적으로 진행합니다. 정부는 이번 행사 기간 온누리상품권 할인  5%에서 10%로 올리고, 지역사랑상품권 공급은 평상시보다 3배 수준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온누리 상품권 판매처

온누리 상품권은 총 3가지 종류로 발행이 됩니다. 하나는 지류(종이), 하나는 카드 형식의 전자상품권, 그리고 젊은층이 많이 이용하는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저도 부모님에게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을 선물하고 사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1인당 구매한도는 50만원입니다.

온누리상품권과 지역상품권 2가지를 함께 구매하면 최대 150만원 어치를 10% 할인하여 구매할 수 있습니다. 더 하여 9종의 소비 쿠폰은 +@.

 

지류(종이) 온누리 상품권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수협, 신협, 농협, 우체국, 새마을금고, 기업은행, 수협은행, 하나은행에 직접 방문하여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전자 온누리 상품권

우리은행, 대구은행, 부산은행, 경남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비씨카드

 

모바일 온누리 상품권

올원뱅크, 투유뱅크, 스마트뱅킹, IM뱅크, 썸뱅크, 뉴스마트뱅킹, 머니트리,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페이코, 유비페이, 신한은행, 핀트, 핀크, 제로페이 온, 티머니페이, 제로페이010, 스마트월렛, 우리은행, 콕뱅크 그리고 최근에 우체국 본부의 우체국 포스트페이 앱에서도 구매가 가능합니다.

온누리 상품권 사용처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전통시장 쇼핑몰

전국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내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점은 ‘전통시장 통통(www.sijangtong.or.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가맹점 종류별 부착된 스티커 확인 전자상품권의 경우 온라인 전통시장관 쇼핑몰에서도 사용가능 사전에 BC카드 홈페이지에서 소득공제 및 인터넷/ISP 등록 필요.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에 한정돼 사용이 가능하지만 시장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에게는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 구매는 매력적입니다.

 

▶전통시장 통통 바로가기

 

추가 소비 쿠폰9종

농수산물 구매시 최대 20% 1만원이 할인이 되며 예산은 739억입니다. 외식은 4회 이상 2만원 이상 사용하면 1만원을 홥급해줍니다. 공연은 1인당 8천원, 숙박은 온라인 예약을 진행하면 2~3만원할인, 체육시설 월 누적 이용금액이 8만원 이상이면 3만원 환급. 영화는 6천원 할인, 여행은 조기예약 할인상품 선결제시 40%할인, 미술관은 1~5천원, 박물관은 최대 3천원이 할인됩니다. 또한 야구장이나 축구 농구 배구 경기 관람시 최대 50% 7천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사랑상품권 구매 사용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