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G스마트폰 LTE 요금제로 변경(+SKT, KT, LGU+, 알뜰폰 공통)

5G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유저들이라면 거의 다 5G 요금제를 사용 중입니다. 이 중 LTE 요금제로 변경하고 싶은데 막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맨 처음 5G 요금제를 가입할 때 선택약정을 통해 가입을 했는지 공시지원금을 받고 가입을 했는지 아니면 자급제폰을 구입해서 가입을 했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공시지원금을 받거나 선택약정할인을 받고 가입을 한 경우에는 자칫 잘못 변경을 하면 위약금이 나오거나 대리점이나 판매점 쪽에서 연락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충분히 확인하고 변경을 해야합니다.

 

만약에 공시지원금 또는 선택약정을 통해 5G스마트폰을 개통한 경우에는 개통했던 대리점이나 판매점에 문의를 하고 나서 변경하는 것을 추천합니다.(중요)

 

오늘 알아볼 내용은 LTE 요금제로 변경하면서 위약금에 관한 내용이 아니라 5G 스마트폰은 LTE요금제로 변경이 안 되는 현상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입니다.

 

5G 스마트폰 자체가 LTE 요금제로 변경 불가

위 사진은 갤럭시노트10에서 알뜰폰 LTE요금제로 변경할 때 나오는 문구입니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5G 스마트폰에서는 LTE 요금제 가입 자체가 안됩니다. 알뜰폰 번호이동이던지 신규가입이던지 5G폰에서는 LTE 요금제로 가입을 할 수 없다고 나옵니다.

 

이는 SK, KT, LG에서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자급제폰에서 5G요금제를 사용하다가 LTE 요금제로 변경하거나, 알뜰폰 LTE요금제로 변경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죠.

 

하지만 변경 할 방법은 있습니다.

 

4G 스마트폰에 유심을 넣고 변경

4G 스마트폰을 하나 준비해야합니다. 가족 중에 4G 스마트폰이 있으면 잠시 빌려서 내 유심을 꽂고 LTE 요금제로 가입을 해줍니다. 주변에 4G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을 찾아야 합니다...

 

참고로 유심은 4G와 5G 전부 호환이 됩니다. LTE유심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5G유심이 따로 있지 않습니다. 요금제 변경을 위해서 유심을 따로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나중에 5G폰 보급율이 높아지면 어쩌려고 이런 식으로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위 방법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 5G스마트폰에서 LTE요금제 가입 불가
  • 4G스마트폰에서 5G요금제 가입 불가

 

추측컨데 위와 같은 공식이 성립합니다. 매우 번거롭고 짜증이 납니다.

 

위 방식은 약정기간이 끝난 경우거나 선택약정을 통해 가입을 했더라도 자급제폰으로 가입을 한 경우(LTE에서 5G로 요근제 변경한 사람)입니다. 다시 한번 주의해야 할 점은 오프라인 통신매장에서 약정 걸고 공시 지원금이나 선택 약정으로 가입한 경우에는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G데이터가 자주 연결이 끊기고 요금제가 비싸다고 LTE요금제로 돌아가다가 위약금 폭탄"을 맞는 경우를 자주 봐왔기 때문입니다. 공시와 선약을 통해 가입한 5G요금제 LTE요금제 변경은 다음 포스팅에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